시리즈 글보기 [시스템] 예외처리① - Exception과 Vector Table [시스템] 예외처리② - 예외처리 및 인터럽트 처리 과정 예외처리 처리과정 1) 예외 발생 2) 예외 모드의 SPSR 레지스터에 현재 프로그램 상태 CPSR를 저장 - 현재 실행 SR을 SPSR에 저장 * SPSR(Save Program Status Register) : 이전 동작 모드의 CPSR(Current Program Status Register)를 저장 3) 복귀를 위해 예외 모드 LR 레지스터에 현재 프로그램 카운터 PC값을 저장 * LR(Link Register) : 복귀 주소 링크. Branch 후에 복귀할 주소를 PC에 저장 4) CPSR의 모드 비트를 변경하여 해당 예외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로 진입 - 이..
시리즈 글보기 [시스템] 예외처리① - Exception과 Vector Table [시스템] 예외처리② - 예외처리 및 인터럽트 처리 과정 예외(Exception) 컴퓨터 시스템 동작 중 예기치 않은 상황 - 바운더리를 벗어나 스펙에 없는 상황을 일으킴 - 오류, 정전, 재시작, 입출력 요구 및 시스템 호출의 발생으로 인해 현재 수행 중인 프로그램을 중단하고 예외 처리 한 후 다시 복귀한다. - 긍정적 사용 : 입출력 인터럽트, 시스템 호출, 디버그 등(의도적으로 컴퓨터 사양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 - 부정적 사용 : 정전, 하드웨어 오류, 메모리 접근 불가, 명령어 해독 불가 등 - 모든 컴퓨터 시스템은 예외 처리를 위해 Vector table을 갖는다. - 인터럽트도 예외의 일종 * Sys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