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외. 사람들과 어울리다가도 문득 나만 떨어져있다는 생각 혹은 톱니바퀴처럼 맞물려 굴러가는 이 사회에서 나만 하찮은 존재로 느껴지는 것. 현대사회에서 현대인에게 떼어놓을 수 없는 감정이 바로 소외가 아닐까싶다. 이런 개인의 '주관적 심리'상태는 어디서 오는 것일까. 모든 인간관계를 파고들면 그속에는 인간이 아닌 어떤 것이 인간 관계를 지배하고 있으며 이러한 '객관적 상황'이 사람들의 심리상태에 반영되는 것은 아닐까 루소, 헤겔, 마르크스, 베버, 사르트르와 하이데거, 호르크하이머와 아드르노 그리고 마르쿠제의 소외론을 정리하였다. 소외론에 대해 정리하기 전에 우선 현대사회의 특징부터 살펴보자. 1. 현대 사회의 특징 · 원리 현대는 형식적으로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를 말한다. 지금 현재, 현대의 시점으로 ..